ClarkConnect도 CentOs 계열이므로 비슷한 설정을 하게 된다.(CentOS Bridge설정 – 아래원문참조) 하지만, LDAP관련 설정이나 DNS에서 자동으로 인터페이스를 인식하는 스크립트 몇 군데에서 반드시 eth~의 이름만을 인식하게 된다.
1. bridge-util을 설치한다.
# apt-get install bridge-utils
2. /etc/sysconfig/network-scripts 에 Bridge 인터페이스를 만든다# vi ifcfg-eth5
ONBOOT=”yes”
TYPE=”Bridge”
IPADDR=”192.168.10.1″
NETMASK=”255.255.255.0″
BOOTPROTO=”static”
– 주의할 점은 Device이름을 eth~ 으로 만들어 줘야 한다. ClarkConnect에 포함된 일련의 네트워크 스크립트 안에서 eth로 시작하는 interface만을 인식하도록 되어있다.
3. 해당 인터페이스를 Bridge에 참가
ifcfg-eth1
DEVICE=”eth1″
ONBOOT=”yes”
BRIDGE=”eth5″
ifcfg-eth2
…
DEVICE=”eth2″
ONBOOT=”yes”
BRIDGE=”eth5″
– 해당 인터페이스를 위와 같은 내용으로 수정한다. Type이나 이런내용이 포함되면 안된다. 자동으로 Bridge Slave로 지정된다.
4. network 를 재시작
# service network restart
참고 원문 : http://kldp.org/node/82383 Arcy님의 글
CentOS, Fedora에서 Bridge세팅하는 법
ClarkConnect 4.2 Flexshare를 이용하기 – 1
ClarkConnect 4.2 Webconfig에 Windows File Sharing부분에는 File Share를 추가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
Flexshare를 통해서 추가해야 한다.
하지만 디폴트 디렉토리가 /var/flexshare/shares 로 지정되어 있어서 바꾸려고 찾아보았지만 /etc/flexshare.conf에는 해당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
여러번의 find 끝에 Flexshare.class.php 파일에 하드코딩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Variables
const SHARE_PATH= ‘/var/flexshare/shares’; 해당부분은 원하는 폴더로 바꾸어 준다.
Webconfig와 smb를 재시작해 준다.
service smb restart
service webconfig restart
이제 Flexshare 설정에서 원하는 폴더 밑에 새로운 공유를 추가 할 수 있다.
윈도우즈 XP 자동업데이트 재등록
윈도우 업데이트 재등록
regsvr32.exe c:\windows\system32\wuweb.dll
regsvr32.exe c:\windows\system32\wups2.dll
regsvr32.exe c:\windows\system32\wups.dll
regsvr32.exe c:\windows\system32\wucltui.dll
regsvr32.exe c:\windows\system32\wuaueng1.dll
regsvr32.exe c:\windows\system32\wuaueng.dll
regsvr32.exe c:\windows\system32\wuapi.dll
JDK1.6 DOM을 이용한 간단 XML 파싱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x.xml.parsers.*;
import org.w3c.dom.*;
import org.apache.log4j.Logger;
public class XMLReader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ger = Logger.getLogger(com.msc.sdm.ic.pub.SmgrDbObjectReader.class);
private String szXMLFileName;
private File xmlFile;
private Document doc = null;
public SmgrDbObjectReader(){
szXMLFileName = “”;
xmlFile = null;
}
public void setXMLFile(File file){
xmlFile = file;
}
public void readXMLFile(){
if(xmlFile != null && xmlFile.exists() == true){
try{
DocumentBuilderFactory docBuilderFactory =
DocumentBuilderFactory.newInstance();
DocumentBuilder docBuilder = docBuilderFactory.newDocumentBuilder();
doc = docBuilder.parse(xmlFile);
Element elem = doc.getDocumentElement();
String root_node = elem.getNodeName();
NodeList node_list = elem.getChildNodes();
int leng = node_list.getLength();
for (int i = 0; i < leng; i++) {
Node node = node_list.item(i);
if(node.getNodeType() == node.ELEMENT_NODE){
//logger.warn(“Node Type : ” + node.getNodeType());
NodeList childList = node.getChildNodes();
logger.warn(“Node Name :”+node.getNodeName());
for( int j = 0 ; j < childList.getLength(); j++){
Node child = childList.item(j);
if(child.getNodeType() == child.ELEMENT_NODE){
//logger.warn(“Child Type : “+ child.getNodeType());
logger.warn(“Child Node : “+ child.getNodeName());
logger.warn(“Child Content: “+ child.getTextContent());
NamedNodeMap attrmap = childList.item(j).getAttributes();
if(attrmap != null)
for( int k = 0 ; k < attrmap.getLength(); k++){
Node attr_node = attrmap.item(k);
logger.warn(“Attribute Node : “+ attr_node.getNodeName());
logger.warn(“Attribute Content: “+ attr_node.getTextContent());
}
}
}
}
}
}catch(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
}
}
ClarkConnect 4.2 에 RocketRaid 174x Open Source 드라이버 설치
Raid5 구성을 위해서 HighPoint사의 RocketRaid 1740 pci카드를 설치하였다.
ClarkConnect는 RHEL-4 버전의 User’Guide 설치 내용과는 약간 달랐다.
1. high-point에서 2.6.x Open Source 드라이버를 다운 받는다.
( highpoint-tech 홈페이지 요기서 다운)
2. 적당한 곳에 압축을 푼뒤에 빌드
# make
# make install
3. 빌드가 완료되었으면 다음과 같이 설치
# install -d /lib/modules/’uname -r’/kernel/dirvers/scsi
# install -c rr174x.ko /lib/modules/’uname -r’/kernel/dirvers/scsi
% ‘uname -r’은 uname -r 수행 결과를 넣으면 된다.
4. 드라이버 추가
# modprobe sd_mod
# insmod rr1740x.ko
# depmod
# modprobe rr174x
5. 부팅시 인식하도록 설정 추가
# echo “modprobe rr174x” > /etc/init.d/hptdriver
# chmod 755 /etc/init.d/hptdriver
# ln -sf /etc/init.d/hptdriver /etc/rc3.d.S01hptdirver
# ln -sf /etc/init.d/hptdriver /etc/rc4.d.S01hptdirver
# ln -sf /etc/init.d/hptdriver /etc/rc5.d.S01hptdirver
참고 : RocketRAID 174x User’s Guide
ClarkConnect 4.2 에 SVN 설치하기
ClarkConnect에 SVN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1.4.4버전으로 다운받는다.
1. Subversion rpm을 받는다.
http://summersoft.fay.ar.us/pub/subversion/latest/rhel-4/i386/
apr-0.9.12-2.i386.rpm
apr-util-0.9.12-1.i386.rpm
subversion-1.4.4-1.i386.rpm
2. Fedora3-core에 포함된 neon_0.24.7-4_i386.rpm 패키지를 구한다.
http://www.superuser.co.kr/home/search/?no=4250&select=rpmView
(Fedora3가 구하기가 귀찮아서 요기에서 다운받았다. 사이트 관리자께 감사~)
3. RPM 설치
#rpm -U apr-0.9.12-2.i386.rpm
#rpm -U apr-util-0.9.12-1.i386.rpm
#rpm -U neon_0.24.7-4_i386.rpm
#rpm -U subversion-1.4.4-1.i386.rpm
4. SVN Repository 설정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
# SVN 시작 : svnserve -d -r /../../..
# SVN 종료 : killall svnserve
ClarkConnect 4.2 VGA 옵션 수정
CN700을 사용하고 있는데 화면이 가끔 깨져서 나오지 않는다. ClarkConnect 포럼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찾았다.
# grub.config 에 파란색 라인부분처럼 수정
video= 부분과 vga= 부분의 숫자표를 수정해주면 된다.
I have long wondered why it seemed impossible to change the screen resolution on the CC 4 console.
Recently, after an upgrade to resolve USB issues (see thread on “USB keyboard dies” for details), my LCD started insisting that the console was “out of range”. That prompted me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video system on CC.
It appears that the problem is with the startup option in /boot/grub/grub.config. My box had the following line:
Code:
———————————————————————–kernel /vmlinuz-2.6.18-8.1.14.3.cc ro root=/dev/md2 video=vesafb vga=0x314
———————————————————————–
Inspection of /lib/modules/2.6.18-8.1.14.3.cc/kernel/drivers/video revealed that the vesafb driver does not exist on the system but vga16fb, which is an alternative, does.
Changing the kernel loader line to:
Code:
———————————————————————–kernel /vmlinuz-2.6.18-8.1.14.3.cc ro root=/dev/md2 video=vga16fb vga=0x314
———————————————————————–
and then rebooting the CC box solved the issue.
The vga= parameter is used to set console resolution and color depth. The following table gives the possible modes:
Code:
——————————————–
| 640×480 800×600 1024×768 1280×1024
—-+—————————————
256 | 0x301 0x303 0x305 0x307
32k | 0x310 0x313 0x316 0x319
64k | 0x311 0x314 0x317 0x31A
16M | 0x312 0x315 0x318 0x31B
——————————————–
출처 : clarkconnect forum
http://www.clarkconnect.com/forums/showflat.php?Cat=0&Number=106369&Main=102356
ClarkConnect 에 Webmin설치
Webmin 설치
# rpm -U webmin-1.410-1.noarch.rpm
ClarkConnect 4.2 CE 에서 PHP5, MySQL5 업그레이드
ClarkConnect 4.2를 설치하게되면 PHP 4.3.x 과 MySQL 4.x 가 기본적으로 설치된다.
요즈음 새로이 PHP App를 설치하려고하면 대부분 PHP는 4.4버전 이상을 요구하게된다.
ClarkConnect Howto문서에 다음과 같이 PHP 5.1.x 과 MySQL 5.0.x. 을 설치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1. 소스 트리를 업데이트한다.
# echo “rpm [pcn] ftp://rhel-4:hiptop@rh.apt.clarkconnect.com System extras” > /etc/apt/sources.list.d/extras.list
# apt-get update
2. MySQL과 PHP가 인스톨되어 있으면
# apt-get dist-upgrade
3.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과 같이 설치
# apt-get install cc-php cc-mysql
4. PHP 필요모듈 설치
보통 PHP에서 다음과 같은 모듈이 필요하게 된다.
gd – graphics module
imap – mail module
ldap – LDAP module
mysql – MySQL module
soap – SOAP protocol module
xml – XML parsing module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php-imap php-gd php-mysql php-soap php-xml php-ldap
5. httpd 재시작
# service httpd restart
고민했던 시간에 비해 간단하게 해결되었다..
RoundCube나 설치해볼까 싶다.
ITX 서버 파워 사망~
서버로 쓰던 조그마한 ITX컴퓨터에 달린 Pico파워가 사망…. 벌써 몇번째인지..
A/S기간은 남아있지만 택배비는 들어가니.. 10번쯤 a/s받으면 한개값나오겠다~
이참에 P3 Daul 서버로 이전 ITX는 잠시 모셔두기로 했다.
ES34069 조립할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