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컴퓨터를 이용한 웹디스크 DIY

상용웹디스크에 관심이 있어 이것저것 알아보았다.

블x , C-Dxxx , 와이xxx 

웹디스크의 장점:



  1. 소모 전력이 적다 (보통 30~60W)
  2. 이동성 (크기가 작다)
  3. 관리가 쉽다 (관리인터페이스 제공)

웹디스크의 단점

    1. 가격이 비싸다.
    2. 확장기능이 별로 없다. (소프트웨어)
    3. 하드웨어 변경할 수 없다.(일부)

선택시 고려되는 점
   1. 가격
   2. 유지비용(전기세, 부품교체비용)
   3. 확장성(웹하드, 웹메일, FTP 등등)
   4. 이동성

 이런저런 넘들을 살펴보니 필요하긴한데 너무 고가 인데다가 활용성이 서브컴을 한대 활용하는것에 비해 떨어진다. 또한 웹서버 기능을 제외하면 일반 저장장치를 사용하는것이 나을듯하고 파일서버로 구축하는 경우에 이동성을 포기하고 저전력 CPU와 mATX 케이스를 이용해서 파일서버를 구축하는것이 나을것 같다. (저전력의 문제는  저전력 Sempron 계열이나 신형 코어2듀오계열의 Cel CPU를 이용하고 120W이하의 Pico-PSU를 이용하면 해결된다. 삼x 에서 나오는 루x 계열중에 모바일  cpu를 이용한 작은 데스크톱같은경우)

 고심끝에 가격은 mATX보다 비싸지만 이동성과 미관을 고려해 ITX를 이용해 DIY하기로 하였다.
 DIY를 위해 구매한 사양은 다음과 같다.

    IK-177 C7 1.5G 메인보드+Gigabit Lan Card
    DDR2 512M
    WD 400G
    WL54 PCI무선랜카드
    WD-M300 ITX-CASE
 
   설치 순서  
   1. 바이오스에서 No Error를 선택하여 Keyboard 마우스 없이 부팅되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
   2. 운영체제를 설치 한뒤에 자동로그인 가능하도록 설정 (리눅스 계열은 설치후에 자동로그인 필요 없다)
   3. APM을 설치후에 간단히 환경에 맞추어 세팅한다.
   4. 필요한 경우 메일서버를 설치(본인은 James를 이용)후 세팅
   5. 웹하드를 설치 ( 본인은 shade웹하드 이용)
   6. 웹메일을 설치 ( 본인은 nocc 웹메일 이용)
   7. FTP를 설치한다.
   8. SSH를 설치한다.
   9. DnsEver를 이용하여 DDNS설정 (domain을 가지고 있다면)
   10. 재부팅 후 완벽히 실행 되는 지 검사후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분리하면 완료됨